맨위로가기

파르마 공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마 공작은 1545년부터 1860년까지 파르마 공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한다. 파르네세 가문, 부르봉 가문, 합스부르크 가문,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등이 파르마 공작을 배출했으며, 프랑스의 점령과 이탈리아 통일 전쟁으로 인해 공작의 통치는 단절되기도 했다. 1860년 이탈리아 왕국에 합병된 이후에는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당주에게 명목상으로만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르마 - 루카 공화국
    루카 공화국은 이탈리아의 도시 국가로, 1084년 자치권을 얻어 약 500년간 독립 공화국으로 존속하다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프랑스에 점령당해 멸망했다.
  • 파르마 - 파르므의 승원
    파르므의 승원은 스탕달의 소설로, 나폴레옹 시대부터 파브리스의 생애를 다루며 사랑, 정치, 권력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낭만주의와 대조되는 사실주의적 문체를 보여준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파르마 공작
기본 정보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문장
부르봉-파르마 가문의 문장 (1848–1859)
칭호공작
국가파르마와 피아첸차
작위 스타일전하
거주지해당 정보 없음
시작1545년 9월 16일
종료1859년 12월 3일
계승자카를로스 데 보르본 데 파르마
이탈리아어duca di Parma e Piacenza
통치자 목록
초대 통치자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마지막 통치자로베르토 1세

2. 파르네세 가문 (1545–1731)

1545년부터 1731년까지 파르네세 가문이 파르마 공국을 통치했다. 파르네세 가문은 교황 바오로 3세(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의 아버지)의 후원으로 공국을 다스렸으며, 스페인프랑스 사이에서 복잡한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파르네세 가문의 공작들은 르네상스바로크 시대에 걸쳐 파르마의 정치, 경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알레산드로는 스페인의 네덜란드 총독으로 활약하며 군사적 명성을 얻었고, 라누초 2세는 문화 예술을 후원하여 파르마의 바로크 시대를 열었다.

안토니오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파르네세 가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피에르 루이지
1545년 9월 16일 – 1547년 9월 10일
1503년 11월 19일
로마
추기경 알렉산데르 파르네세(훗날 교황 바오로 3세)의 아들, 실비아 루피니의 아들일 가능성 높음
지롤라마 오르시니
1519년
로마
자녀 4명
1547년 9월 10일
피아첸차
43세
오타비오
1549년 11월 9일 – 1586년 9월 18일
1524년 10월 9일
발렌타노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지롤라마 오르시니의 아들
파르마의 마르가레타
1538년 11월 4일
로마
자녀 2명
1586년 9월 18일
파르마
61세
알레산드로
1586년 9월 18일 – 1592년 12월 3일
1545년 8월 27일
로마
오타비오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파르마의 마르가레타의 아들
기마랑이스의 마리아
1565년 11월 11일
브뤼셀
자녀 3명
1592년 12월 3일
생 와스트, 네덜란드
47세
라누치오 1세
1592년 12월 3일 – 1622년 3월 5일
1569년 3월 28일
파르마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기마랑이스의 마리아의 아들
마르게리타 알도브란디니
1600년 5월 7일
로마
자녀 9명
1622년 3월 5일
파르마
52세
오도아르도
1622년 3월 5일 – 1646년 9월 11일
1612년 4월 28일
파르마
라누치오 1세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마르게리타 알도브란디니의 아들
마르게리타 데 메디치
1628년 10월 11일
피렌체
자녀 4명
1646년 9월 11일
피아첸차
34세
라누치오 2세
1646년 9월 11일 – 1694년 12월 11일
1630년 9월 17일
카잘마조레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마르게리타 데 메디치의 아들
1694년 12월 11일
파르마
64세
프란체스코
1694년 12월 11일 – 1727년 2월 26일
1678년 5월 19일
파르마
라누치오 2세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모데나의 마리아의 아들
노이부르크의 도로테아 소피
1696년 12월 7일
파르마
후사 없음
1727년 2월 26일
피아첸차
48세
안토니오
1727년 2월 26일 – 1731년 1월 20일
1679년 11월 29일
파르마
라누치오 2세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모데나의 마리아의 아들
에스테의 엔리케타
1728년 2월 5일
파르마
후사 없음
1731년 1월 20일
파르마
51세


2. 1.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1545–1547)

피에르 루이지는 초대 파르마 공작이다. 교황 바오로 3세의 서자로, 교황의 권력을 등에 업고 공국을 통치했다.[1]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피에르 루이지
1545년 9월 16일 – 1547년 9월 10일
1503년 11월 19일
로마
추기경 알렉산데르 파르네세(훗날 교황 바오로 3세)의 아들, 실비아 루피니의 아들일 가능성 높음
지롤라마 오르시니
1519년
로마
자녀 4명
1547년 9월 10일
피아첸차
43세


2. 2. 오타비오 파르네세 (1547–1586)

1549년 11월 9일 – 1586년 9월 18일1524년 10월 9일
발렌타노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지롤라마 오르시니의 아들파르마의 마르가레타
1538년 11월 4일
로마
자녀 2명1586년 9월 18일
파르마
61세


2. 3.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1586–1592)

오타비오의 아들인 알레산드로는 1586년부터 1592년까지 파르마 공작이었다. 그는 스페인의 네덜란드 총독으로 활약하며 군사적 명성을 얻었다. 그는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통합하려 노력했다.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알레산드로
1586년 9월 18일 – 1592년 12월 3일
1545년 8월 27일
로마
오타비오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파르마의 마르가레타의 아들
기마랑이스의 마리아
1565년 11월 11일
브뤼셀
자녀 3명
1592년 12월 3일
생 와스트, 네덜란드
47세


2. 4. 라누치오 1세 파르네세 (1592–1622)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의 아들이다. 1569년 3월 28일 파르마에서 태어났으며, 1600년 5월 7일 로마에서 마르게리타 알도브란디니와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다. 1622년 3월 5일 파르마에서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으나,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라누치오 1세
1592년 12월 3일 – 1622년 3월 5일
1569년 3월 28일
파르마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기마랑이스의 마리아의 아들
마르게리타 알도브란디니
1600년 5월 7일
로마
자녀 9명
1622년 3월 5일
파르마
52세


2. 5.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1622–1646)

라누치오 1세의 아들로, 1612년 4월 28일에 파르마에서 태어났다. 1622년부터 1646년까지 파르마 공작으로 재임했다. 30년 전쟁에 참전하여 파르마 공국의 재정을 악화시켰다. 1646년 9월 11일 피아첸차에서 3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출생결혼사망
1612년 4월 28일
파르마
라누치오 1세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마르게리타 알도브란디니의 아들
마르게리타 데 메디치
1628년 10월 11일
피렌체
자녀 4명
1646년 9월 11일
피아첸차
34세


2. 6. 라누치오 2세 파르네세 (1646–1694)

오도아르도 파르네세의 아들로, 1630년 9월 17일에 태어났다. 1646년부터 1694년까지 파르마 공작으로 재위했다. 그는 문화 예술을 후원하여 파르마의 바로크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출생사망배우자
1630년 9월 17일
카잘마조레
오도아르도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메디치 가의 마르게리타 데 메디치의 아들
1694년 12월 11일
파르마
64세


2. 7. 프란체스코 파르네세 (1694–1727)

라누치오 2세와 모데나의 마리아의 아들로 1678년 5월 19일 파르마에서 태어났다. 1694년 12월 11일부터 1727년 2월 26일까지 재위하였다. 1696년 12월 7일 파르마에서 노이부르크의 도로테아 소피와 결혼하였으나 후사가 없었다.[1] 1727년 2월 26일 피아첸차에서 4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프란체스코
1694년 12월 11일 – 1727년 2월 26일
1678년 5월 19일
파르마
라누치오 2세 파르네세, 파르마 공작와 모데나의 마리아의 아들
노이부르크의 도로테아 소피
1696년 12월 7일
파르마
후사 없음
1727년 2월 26일
피아첸차
48세


2. 8. 안토니오 파르네세 (1727–1731)

라누치오 2세와 모데나의 마리아의 아들로, 1679년 11월 29일 파르마에서 태어났다. 1727년 2월 26일부터 1731년 1월 20일까지 파르마 공작이었다. 1728년 2월 5일 파르마에서 에스테의 엔리케타와 결혼했지만 후사가 없었다. 1731년 1월 20일 파르마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파르네세 가문의 통치는 끝났다.

3. 부르봉 가문 (1731-1735)

카를로 1세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와 파르마의 엘리사베타의 아들로 1731년부터 1735년까지 파르마 공작을 지냈다.

3. 1. 카를로스 1세 (1731-1735)

1731년 2월 26일 – 1735년 10월 3일
카를로스 3세
1716년 1월 20일
마드리드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와 파르마의 엘리사베타의 아들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1738년 6월 19일
13명의 자녀1788년 12월 14일
마드리드
72세


4. 합스부르크 가문 (1735–1748)

1735년부터 1748년까지 파르마 공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 파르마 공작은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6세(1735년–1740년)와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1740년–1748년)였다.

4. 1.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6세 (1735–1740)

1735년 10월 3일 – 1740년 10월 20일
128x128px
1685년 10월 1일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와 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마그달레네의 아들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1708년 8월 1일
바르셀로나
4명의 자녀1740년 10월 20일

55세


4. 2.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1740–1748)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는 1740년 10월 20일부터 1748년 10월 18일까지 파르마 공작이었다.[1]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의 딸로, 1717년 5월 13일 에서 태어났다.[1] 1736년 2월 12일 프란츠 1세, 신성 로마 황제와 결혼하여 16명의 자녀를 두었다.[1] 1780년 11월 29일 에서 63세로 사망했다.[1]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마리아 테레지아
1740년 10월 20일 – 1748년 10월 18일
124x124px
1717년 5월 13일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와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의 딸
프란츠 1세, 신성 로마 황제
1736년 2월 12일
16명의 자녀
1780년 11월 29일

63세


5.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1748–1802)

1748년 10월 18일 – 1765년 7월 18일

1720년 3월 15일
마드리드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와 엘리자베타 파르네세의 아들프랑스의 루이즈 엘리자베스 공주
1739년 10월 25일
자녀 3명1765년 7월 18일
알레산드리아
45세 사망페르디난트
1765년 7월 18일 – 1802년 10월 9일
1751년 1월 20일
파르마
파르마 공작 필리포와 프랑스의 루이즈 엘리자베스 공주의 아들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대공녀
1769년 7월 19일
자녀 7명1802년 10월 9일
폰테비보
51세 사망


5. 1. 필리포 1세 (1748–1765)

1748년 10월 18일 – 1765년 7월 18일1720년 3월 15일
마드리드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와 엘리자베타 파르네세의 아들프랑스의 루이즈 엘리자베스 공주
1739년 10월 25일
자녀 3명1765년 7월 18일
알레산드리아
45세 사망


5. 2. 페르디난도 1세 (1765–1802)

필리포 1세의 아들로,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파르마 공국이 프랑스에 점령되면서 통치권을 잃었다.[1]

공작초상화탄생결혼사망
페르디난트
1765년 7월 18일 – 1802년 10월 9일
1751년 1월 20일
파르마
파르마 공작 필리포와 프랑스의 루이즈 엘리자베스 공주의 아들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아말리아 대공녀
1769년 7월 19일
자녀 7명
1802년 10월 9일
폰테비보
51세 사망


6. 프랑스의 점령 (1802-1814)

180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이탈리아 점령으로 파르마 공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했다. 이후 공국은 1814년에야 재건된다. 나폴레옹 1세는 1808년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와 샤를프랑수아 르브룅에게 각각 파르마 공작과 피아첸차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 이들은 파르마피아첸차의 영토를 실제로 통치하지는 않았지만, 세습되는 명예 칭호인 ''대공작''이었다.[2]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문서를 참조하라.


  •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
  • 샤를프랑수아 르브룅

6. 1.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 (1808-1814)

1802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이탈리아 점령으로 파르마 공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한 뒤, 1808년 나폴레옹 1세는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와 샤를프랑수아 르브룅에게 각각 파르마 공작과 피아첸차 공작 작위를 수여했다. 이들은 파르마피아첸차의 영토를 실제로 통치하지는 않았지만, 세습되는 명예 칭호인 ''대공작''이었다.[2]

공작초상출생결혼사망
장자크레지스 드 캉바세레스
1808년~1814년
1753년 10월 18일
몽펠리에
장 앙투안 드 캉바세레스와 마리-로즈 바살의 아들
미혼1824년 3월 8일
파리
70세


6. 2. 샤를프랑수아 르브룅 (1808-1814)

1808년 나폴레옹 1세에 의해 피아첸차 공작으로 임명된 샤를프랑수아 르브룅은 실질적인 통치권은 행사하지 못했다.[2] 그는 명예로운 세습형 ''대공작'' 작위를 받았다.

공작초상출생결혼사망
샤를 프랑수아 르브룅, 플라상스 공작
1808–1814
1739년 3월 19일
생 소뵈르 렁들랭
폴 르브룅과 루이즈 르 크로니에의 넷째 아들
안 델라고트[2] (1773년)
아들 3명, 딸 2명
1824년 6월 16일
생트-메므
85세


7.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1814–1847)

1814년 4월 11일 – 1847년 12월 17일

1791년 12월 12일
출생
프란츠 2세와 마리아 테레사의 딸1847년 12월 17일
파르마 사망
향년 56세



나폴레옹 프랑수아 조제프 샤를 보나파르트는 마리 루이즈와 나폴레옹 1세의 아들로, 한때 계승 서열에 있었으나 파르마 공작이 되지는 못하고 어머니보다 먼저 사망했다.

7. 1. 마리 루이즈 (1814 - 1847)



마리 루이즈는 1814년 4월 11일부터 1847년 12월 17일까지 파르마 공작이었다. 1791년 12월 12일 에서 프란츠 2세와 마리아 테레사의 딸로 태어났다.

1810년 4월 1일 루브르에서 나폴레옹 1세와 결혼하여 아들 1명을 낳았다. 이후 1821년 9월 7일 파르마에서 아담 알베르트 백작 폰 나이페르크와 재혼하여 자녀 3명을 두었다. 1834년 2월 17일에는 샤를 르네, 봉벨 백작과 파르마에서 세 번째 결혼을 하였으나 후사는 없었다.

마리 루이즈는 1847년 12월 17일 파르마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마리 루이즈와 나폴레옹 1세의 아들인 나폴레옹 프랑수아 조제프 샤를 보나파르트는 한때 파르마 공작 계승 서열에 있었지만, 공작이 되지는 못하고 1832년에 어머니보다 먼저 사망했다.

8.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1847–1860)

카를로 2세, 카를로 3세, 로베르토 1세가 이 가문을 통치했다.[1]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카를로 2세
1847년 12월 17일 ~ 1849년 5월 17일
1799년 12월 22일
마드리드
에트루리아의 루이와 루카 여공작 마리아 루이사의 아들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
1820년 9월 5일
자녀 2명
1883년 4월 16일
니스
83세
카를로 3세
1849년 5월 17일 ~ 1854년 3월 27일
1823년 1월 14일
루카 피아노레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와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의 아들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
1845년 11월 10일
자녀 4명
1854년 3월 27일
파르마
31세
로베르토 1세
1854년 3월 27일 ~ 1859년 6월 9일
1848년 7월 9일
피렌체
파르마 공작 카를로 3세와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의 아들
(1)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
1869년 4월 5일
자녀 12명

(2)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
1884년 10월 15일
자녀 12명
1907년 11월 16일
비아레조
59세


8. 1. 카를로 2세 (1847–1848)

카를로 2세는 1799년 12월 22일 마드리드에서 에트루리아의 루이와 루카 여공작 마리아 루이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847년 12월 17일부터 1849년 5월 17일까지 파르마 공작으로 재위했다. 1820년 9월 5일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와 결혼하여 2명의 자녀를 두었다. 1848년 혁명으로 퇴위하였으며, 1883년 4월 16일 니스에서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카를로 2세
1847년 12월 17일 ~ 1849년 5월 17일
1799년 12월 22일
마드리드
에트루리아의 루이와 루카 여공작 마리아 루이사의 아들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
1820년 9월 5일
자녀 2명
1883년 4월 16일
니스
83세


8. 2. 카를로 3세 (1848–1854)

'''카를로 3세'''(1823년 1월 14일 ~ 1854년 3월 27일)는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의 아들로, 루카 피아노레에서 태어났다. 1849년 5월 17일부터 1854년 3월 27일까지 파르마 공작으로 재위했다. 1845년 11월 10일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와 결혼하여 자녀 4명을 두었다. 1854년 3월 27일 파르마에서 암살당했다.[1]

공작초상화출생결혼사망
카를로 3세
1849년 5월 17일 ~ 1854년 3월 27일
1823년 1월 14일
루카 피아노레
파르마 공작 카를로 2세와 사보이의 마리아 테레사의 아들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
1845년 11월 10일
자녀 4명
1854년 3월 27일
파르마
31세


8. 3. 로베르토 1세 (1854–1860)



'''로베르토 1세'''는 1848년 7월 9일 피렌체에서 카를로 3세와 프랑스의 루이즈 마리 테레즈의 아들로 태어났다. 1854년 3월 27일부터 1859년 6월 9일까지 재위했다.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피아와 1869년 4월 5일에 결혼하여 12명의 자녀를 두었고, 1884년 10월 15일에는 포르투갈의 마리아 안토니아와 결혼하여 또 다른 12명의 자녀를 두었다. 1907년 11월 16일 비아레조에서 5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로베르토 1세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으로 파르마 공국이 사르데냐 왕국에 합병되면서 통치권을 잃었다.

9. 보르보네파르마 가문 당주 (1859년 이후)

재임 기간이름
1859년 ~ 1907년로베르토 1세[1]
1907년 ~ 1939년엔리코[1]
1939년 ~ 1950년주세페[1]
1950년 ~ 1959년엘리아스[1]
1959년 ~ 1974년로베르토 우고[1]
1974년 ~ 1977년사베리오[1]
1977년 ~ 2010년카를로 우고[1]
2010년 ~ 현재카를로 사베리오[1]


참조

[1] 서적 The Counter Reformation Thames and Hudson 1968
[2] 웹사이트 Anne Delagoutte, * 1755 {{!}} Geneall.net http://geneall.net/e[...] 2023-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